회사내에 DRM 프로그램 제거 실패로 RunDLL32.exe 문제가 발생되어 긴급 조치에 들어갔다.
애초에 안전모드 부팅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으나 걱정마라 어차피 [ 안전모드 ]에서 해야한다.
먼저 해당 증상은 Fasoo DRM 언인스톨러 시에 발생한 에러로 인한
C:\Program Files / C:\Program Files (x86) 에 존재하는
Fasoo DRM 관련 폴더가 삭제되지 않아 지정된 모듈을 찾을 수 없다며 (난 몰루) 발생되는데
조치방법은 간단 명료하다.
첫번째로 Fasoo DRM 폴더에 있는 구성 요소가 작동되는지 알아봐야 한다.
정상 윈도우 부팅상태에서 마주치는 C:\Program Files (x86) 폴더를 날려본다.

어차피 삭제할꺼 한방에 되면 좋겠지만.. 검색하여 들어오는 사람은.. 해당 단계에서 끝나지 않는다..
( 이게 보안프로그램인데 잘못 삭제하면 귀차니즘과 짜증을 유발하는 악성코드처럼 느껴지기 시작한다. )
자 그럼 이제 명령 프롬프트 CMD (층)를 관리자 권한으로( 나는 관대하다 ) 불러오자

윈도우 하단 검색을 이용 또는
C:\Users\User Name\AppData\Roaming\Microsoft\Windows\Start Menu\Programs\System Tools 에 있는 프롬프트 우클릭 관리자 권한 실행

아래 나열한 명령어를 입력 또는 응용하여 프로세스를 종료[죽여]시켜주자
taskkill /f /im fph.exe
이후 C:\Program Files (x86) 폴더에서 Fasoo DRM 폴더를 제거
아마 제거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이 될 수 있는데 ( 기억을 더듬어 집필하고 있기 때문에.. 순서가 뒤죽 박죽일수 있다. )
( 이 정도면 건망증을 의심해봐야... )
해당 증상이 발생되면
taskkill /f /im f_LPS.exe 명령어를 CMD[관리자 권한]에 입력 후 실행하여 해당 서비스를 작동 중지 및 적용으로
고이 죽여.. 마감시켜 주자
성공적으로 프로세스가 죽은 후 실행 창 또는 검색바 에서 services.msc 를 입력 서비스를 실행
Fasoo Process Service 작동 중지 및 적용

해당 서비스가 종료되면 거의 폴더는 삭제 된다.
자 이제 C:\Program Files (x86) 폴더 안에 Fasoo DRM 폴더는 삭제가 됬을거라고 상상된다.
혹은 다른 에러가 발생되며 삭제가 불가능 하다면.. 유감이지만 안전모드에서 다시 진행해보아야 한다.
그래도 난 안전모드에서 하기 싫다.. ! 라면\
삭제 할 수 없습니다. 창에서 뜨는 프로세스를 TasKKill 명령어로 하나하나 종료 및 추적하여 삭제 해주면 된다.
어찌저찌 C:\Program Files (x86) 폴더 작업이 마무리 되었다면 이제 C:\Program Files 폴더 안[ Fasoo DRM ]도 제거를 해주자.
C:\Program Files (x86) 또는 C:\Program Files 폴더를 날리면 안된다.. ( 그럼 진짜 .... ㅈ 댐.. )
먼저 안전모드로 진입.
검색창 또는 실행창 msconfig > 부팅 > 안전모드 체크 > 확인 > 다시시작


안전 모드 부팅 후
C:\Program Files\Fasoo DRM 를 전체 삭제 진행 삭제 되지 않는 찌꺼기( 파수 업체 님 죄송...합니다 )를
f_executor.dll > f_executor.dll.old
f_sps.dll > f_sps.dll.old
위 예시처럼 변환 그저 파일 뒤 .old 붙여주자
이후 삭제 진행하면 ㅎㅎ 에러 발생한다.( 낚였지 ? )
먼저 층(cmd)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
taskkill /f /im rundll32.exe 프로세스 다이
위 과정중 동일하게 실행 또는 검색바를 이용 services.msc 서비스를 불러오고
WpnService - Windows 푸시 알림 시스템 서비스 를 작동 중지 및 적용

이후 C:\Program Files 폴더안 Fasoo DRM 폴더를 완벽히 제거
( 해당 PC 증상 기준으로 서술하기에 다를 수 있다. 다른 증상이 더 발생 한다면 여기서 부터는 Taskkill 명령을 응용하여 모든 프로세스와 서비스를 종료 하여 Fasoo DRM 폴더를 완벽히 제거 하여야 한다. )
위 과정이 모두 해결되고 완료 되었다면
WpnService - Windows 푸시 알림 시스템 서비스 를 자동 > 시작 > 적용 > 확인 으로 원래 상태로 돌려주자
( 뭐... 개인차이니까 마음대로 판단 )
이 후


msconfig 실행 > 부팅 > 안전모드 체크 해제 > 적용 > 확인 > 재부팅
과정 순으로 윈도우를 포멧하지 않고 Fasoo( 파스 읍...읍... ) DRM을 완벽히 제거 할 수 있다.
'IT 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세청 피싱 메일 주의 내 나름 분석 포함 (0) | 2024.06.20 |
---|---|
윈도우 11 가상 데스크톱(새 데스크톱) 간편 전환하기 (2) | 2024.05.30 |
올뉴 쏘렌토(16Y) 안드로이드 오토 연결과 루팅하지 않고 안드로이드 오토로 유튜브 음악 듣기 (Not Rooting) (0) | 2024.03.28 |
Windows 11 업데이트 오류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았습니다. (0) | 2024.03.15 |
아이오드(Iodd) VHD를 이용한 UEFI 부팅 구성하기 (0) | 2024.03.04 |